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동구 × 산책하다

동구 × 산책하다

동구 인문산책길

동구에 산재해 있는 역사적, 문화적 자원들을 스토리텔링을 통해 엮어 우리지역 역사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조성되었습니다.

뜻세움길

근·현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뜻을 굽히지 않고 뜨겁게 살다간 세 인물의 이야기를 따라 걷는 길

지산동오층석탑 → 문병란시인의 집 → 오지호 가옥 → 이한열열사의 집 → 자운사 → 지산유원지
지도 다운로드
검색

전체 6건

  • 동오층석탑 지산동 448-48
    광주시내에 상당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2기의 탑 가운데 동쪽에 위치한 것으로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이다. 1955년 해체, 수리할 때 4층 지붕돌 윗면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었고, 1961년에 다시 수리를 하여 일부 석재를 보완하였다. 광주 전남지방에 남아있는 몇 안되는 5층석탑 가운데서도 우수한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이다.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사진출처 지산동오층석탑, ⓒ 문화재청
  • 시인 문병란의 집 밤실로 4번안길 16 (지산동 267-11)
    문병란시인이 별세할때까지 거주했던 집으로, 최근 기념공간으로 재단장하여 ‘시인 문병란의 집’으로 문을 열었다. 문병란시인은 통일을 노래한 민족시인 문병란은 시인 김현승의 추천으로 「가로수」를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첫 시집 『문병란시집』(1971), 제2시집 『정당성』(1973), 제3시집 『죽순밭에서』(1977)를 발표, 유신정치체제를 거스르며 그의 작품 속에 시대정신을 담아내었다. 2000년 조선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하여 서은문학연구소를 열고 문학에 뜻을 둔 이들에게 시를 가르치다가 2015년 별세하였다.
    사진출처 시인문병란의집
  • 오지호 가옥 지호로 81-20 (지산동 275)
    오지호화백이 거주했던 초가집이다. 오지호는 전남 화순군 동복면 출신으로 1926년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 1928년 제7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이른 봄>을 발표하였다. 귀국 후 개성 송도보고에 재직하였고, 김주경과 함께 한국최초의 원색화집인 『오지호·김주경 2인화집』을 발간했다. 1948년, 광주로 귀향하여 ‘광주미술연구회’를 결성하고, 개인전을 열었다. 조선대 미술과에 교수로 부임한 후 1954년, 지산동 초가집으로 거처를 옮겨 평생의 안식처이자 작업실로 삼았다.
    사진출처 오지호가옥(2005) ⓒ광주시청각자료실
  • 이한열 열사의 집 지호로 106번길 4 (지산동 217-1)
    이한열열사가 학창시절 거주했던 집이다. 대한민국 역사를 바꾼 이한열은 화순군에서 태어나 1970년 광주 지산동으로 이사를 와서 정착한 광주의 청년이다. 1986년, 연세대 경영학과에 입학한 이후 학생운동조직에서 활동하며 광주의 5월을 접하고 현실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1987년 대통령직선제 개헌을 향한 국민들의 요구가 높아져가는 가운데 6월 9일 연세대에서 열린 결의대회에서 경찰이 발포한 최루탄에 뒷머리를 맞고 쓰러졌다. 7월 9일, ‘애국학생 故 이한열열사 민주국민장’이 거행되고, 그는 망월동 묘역에 안장되었다.
  • 자운사 지호로 106번길 8-8 (지산동 95-3)
    지호로를 따라 무등산으로 올라가는 길 오른편에는 자운사라는 사찰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의 대웅전에는 고려 후기의 목조불상인 국가지정 보물 제1507호 목조아미타불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조각기법이 자연스럽고 자태가 수려하며 신체비례가 적당하여 원만상을 보이는 등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준다.
    사진출처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문화재청
  • 지산유원지 지호로 164번길 23(지산동 산56-4)
    지산유원지는 지산동 산 50번지 일대에 1978년 완공했다. 3만 4천평의 부지에 리프트카, 옥외풀장, 비행장, 데이트컵, 회전목마, 관광열차, 동물원, 보트장, 전망대, 서운각 등이 있었다. 1990년에 온천수를 개발, 무등산관광호텔이 들어섰다. 유원지 꼭대기에 팔각정을 만들 때 주민들이 풍수지리상 뱀의 등에 해당하는 자리이므로 개발하면 재앙이 따른다고 반대하기도 했다. 단사(丹蛇)형국의 파괴로 그 화가 5·18광주민주화운동으로 나타났다는 얘기가 돌기도 했다.
    사진출처 지산유원지(1999) ⓒ광주시청각자료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균 0 0명 참여

만족도 선택

0/100